이슈·브리프
세종논평
TOTAL 502 Page 1/51
뮌헨안보회의 특별회의: 바이든 대통령의 첫 다자외교 메시지 [세종논평 No.2021-06]
뮌헨안보회의 특별회의: 바이든 대통령의 첫 다자외교 메시지 [세종논평] No. 2021-06 (2021.02.26.)정은숙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연구실장chunges@sejong.org 지난 주(2월 19일) 뮌헨안보회의 특별회의가 개최됐다. 뮌헨안보회의는 냉전기인 1963년 서독의 언론인 폰 클라이스트에 의해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
2021-02-26 조회수 : 66 정은숙
조선노동당 제8차 제2기 전원회의 평가 [세종논평 No.2021-05]
조선노동당 제8차 제2기 전원회의 평가 [세종논평] No. 2021-05 (2021.02.19.)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ej0717@sejong.org 북한은 2021년 2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에 걸쳐 조선노동당 제8차 제2기 전원회의를 개최하였다. 1월에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와 제8차 제1기 전원회의,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4차회의의 연...
2021-02-19 조회수 : 691 최은주
바이든 취임과 미러관계 전망 [세종논평 No.2021-04]
바이든 취임과 미러관계 전망 [세종논평] No. 2021-04 (2021.02.04.)정은숙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연구실장chunges@sejong.org 2021년 1월 20일, 오바마 정부 8년간 부통령을 역임한 민주당 원로 바이든(Joseph R. Biden Jr.78세)이 임기4년 미국 제46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트럼프 집권 4년간 극도로 양분화된 미...
2021-02-04 조회수 : 1,431 정은숙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 [세종논평 No.2021-03]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 [세종논평] No. 2021-03 (2021.01.22.)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shlee@sejong.or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월 20일 취임식을 갖고 제46대 대통령으로 임기를 시작했다. 역사상 유례없는 혼란과 갈등 속에 치러진 선거로 바이든이 당선됐지만 트럼프 지지자들의 미 의회 난입사...
2021-01-22 조회수 : 2,635 이상현
북한의 노동당 규약 개정과 김정은의 위상 변화 평가 [세종논평 No.2021-02]
북한의 노동당 규약 개정과 김정은의 위상 변화 평가 [세종논평] No. 2021-02 (2021.01.13.)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softpower@sejong.org 북한의 노동당 규약에 의하면 ‘당의 최고지도기관’은 당대회이다. 그런데 김정일 시대에는 당대회가 단 한 번도 개최된 적이 없었지만 김정은 집권 이후에는 당대회가 ...
2021-01-13 조회수 : 3,349 정성장
바이든 취임을 앞둔 미국의 정치 환경 [세종논평 No.2021-01]
바이든 취임을 앞둔 미국의 정치 환경 [세종논평] No. 2021-01 (2021.1.12.)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연구센터장woo@sejong.org연방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각 주의 대통령 선거결과를 최종적으로 인준하여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기 위한 모든 절차가 마무리 되었다. 여느때 같으면 11월 선거 이후 1월의 최종 인준에 ...
2021-01-12 조회수 : 2,995 우정엽
2020년 김정은위원장 공개 활동 특징과 함의 [세종논평 No.2020-35]
2020년 김정은위원장 공개 활동 특징과 함의 [세종논평] No. 2020-35 (2020.12.24.)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ej0717@sejong.org 2020년 김정은 위원장은 최근 보도에서 확인된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9주기 금수산태양궁전 방문까지 총 53차례의 공개 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2020년 공개 활동은 거의 ...
2020-12-24 조회수 : 4,350 최은주
미국과 중국의 갈등 심화와 한국의 포지셔닝(positioning) [세종논평 No.2020-34]
미국과 중국의 갈등 심화와 한국의 포지셔닝(positioning) [세종논평] No. 2020-34 (2020.12.21.)양운철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ucyang@sejong.org 한국의 안보이익과 경제이익의 충돌 최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증가하는 이유는 양국의 무역 수지 불균형,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세계에 대한 영향력 증대, ...
2020-12-21 조회수 : 4,179
스가 총리의 신자유주의 개혁노선과 한일관계 향방 [세종논평 No.2020-33]
스가 총리의 신자유주의 개혁노선과 한일관계 향방 [세종논평] No. 2020-33 (2020.12.21.)이면우 세종연구소 부소장mwlee@sejong.org 일본의 스가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9월의 내각 출범시에는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나타냈는데, 한 예로 일본경제신문의 조사에서 기록된 74%...
2020-12-21 조회수 : 3,105 이면우
중국과 호주의 극한 대립: 한국에 대한 함의 [세종논평 No.2020-32]
중국과 호주의 극한 대립: 한국에 대한 함의 [세종논평] No. 2020-32 (2020.12.14.)김기수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kskim@sejong.org 중국과 호주의 갈등이 대단히 심각하다. 단순 이해 충돌을 넘어 감정대립 양상을 띠고 있다. 호주 군인이 어린 양을 껴안고 있는 아프간 어린이를 조롱하는 사진을 중국 외교부 대변...
2020-12-14 조회수 : 3,052 김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