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14/36
미, 중 군사전략의 충돌 가능성과 한국의 대응
2013-08-30 조회수 : 11,167 정철호
중국은 국력부상과 함께 ‘신(新)대국관계’를 주창하며 미국에 대해 ‘유소작위(有所作爲)’의 행태를 전개하고 있다. 중국은 현대전에서 ‘정보전여건...
The UN Non-Proliferation Sanctions on North Korea: Assessment and Suggestions
2013-08-30 조회수 : 10,198 정은숙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s impos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ince 2006 in response to the North's nuclear tests. Howeve...
아베 정권의 등장과 박근혜 정부의 대일 정책 방향
2013-08-30 조회수 : 10,547 진창수
아베 정권의 대외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일관계의 구조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박근혜정부의 대일정책에 대해 제언을 한다. 앞으...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과 한국의 준비·대응방안
2013-08-30 조회수 : 10,802 홍현익
국가안보를 위해서는 한 치의 오차나 빈 틈도 있어서도 안되며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1%의 가능성도 경시해서는 안된다는 학문적·정책적...
독도수호전략 연구
2013-08-30 조회수 : 10,110 이종석
독도에 대한 우리의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용한 대응이냐, 강경한 대응이냐의 이분법에서 한쪽을 택하는 차원에서 논의될 것이 아니라 장기...
국제정치 속의 한국 대북정책: 이명박 정부의 안보정책을 중심으로
2013-08-30 조회수 : 10,105 문순보
한 국가의 대외정책에 미치는 국제정치의 구조적 영향력에 주목한다 이 글은 한반도에 . 영향을 미치는 두 초강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역학관계 속...
북한시장의 형성과 발전: 시장화 특성과 정치적 결과를 중심으로
2013-08-30 조회수 : 10,212 오경섭
북한시장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장화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정부와 시장의 관계를 분석하고, 시장화의 정 치적 결과에 대한 분석을 ...
이승만정부와 장면정부의 통일정책 비교
2013-08-30 조회수 : 10,315 백학순
이승만정부(1948년 8월~1960년 6월)와 그 후임정부인 장면정부(1960년 8월~1961년 5월)의 통일정책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북한 군수산업의 민수전환 방안 연구: 체제전환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2013-08-30 조회수 : 9,954 양운철
대를 이은 북한의 군사중시 전략은 자원배분의 왜곡으로 계획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2000년대에는 선군정치에 입각하여 군수공업을 강화하...
시진핑 시대 미중관계와 한국의 대중 전략
2013-08-30 조회수 : 10,126 이태환
중국의 시진핑 정부 출범에 맞추어 한국의 대중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중 북중관계 변화를 미중관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