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19/36
창지투(長吉圖) 개발계획과 동북아 경제협력
2012-02-05 조회수 : 9,839 양운철, (공저)
중국과 북한의 경제적 밀월관계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양국은 과거 지원과 원조를 통한 일방 수혜적 관계에 기초하고 있었으나 21C에 들어와 ...
NPT 有用性 한계의 극복 방향: 미국의 인도 핵무기용인과 NPT 파급영향
2011-09-16 조회수 : 10,447
핵무기가 등장한 이래 지금까지 핵보유국이 예상보다 적게 출현한 것은 지난 37년간 미국의 주도로 작동되어 온 NPT체제를 중심으로 한 핵확산 억...
중국·일본관계의 정치경제, 역사와 전망
2011-09-16 조회수 : 9,913
중일관계가 역사적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2005년 고이즈미 수상시기 일본과 중국이 영토문제와 역사교과서 등의 문제로 심한 갈등을 보였으나...
후진타오 시기 중국의 대일본정책
2011-09-16 조회수 : 10,337
본 연구는 후진타오 정부 시기의 중일관계를 중국의 대일정책 관점에서 살펴보고 중국의 대일정책에 작용하는 변수를 정치․경제․안보의 측면에...
중국과 북한의 당중앙군사위원회 비교 연구: 위상·역할·후계문제를 중심으로
2011-09-16 조회수 : 10,391 정성장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와 북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당중앙위원회로부터의 상대적인 독립, 국가 국방지도기관에 대한 우위, 군대에 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의 입장
2011-09-16 조회수 : 7,378 이태환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 입장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위해 미중관계와 중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에 대한 분석을 ...
전후 일중관계의 전개 및 향후양상: 2010년 센가쿠열도분쟁의 의미와 영향을 중심으로
2011-09-16 조회수 : 11,308 이면우
앞으로의 일중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2010년에 발생한 센가쿠분쟁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임으로써 중국의 제2 세계경제대국에의 부상 ...
중국의 경제적 팽창과 그 한계: 베이징 컨센서스와 관리 자본주의(managed capitalism)의 문제점
2011-09-16 조회수 : 10,612 김기수
중국은 2010년 국내총생산(GDP)에서 일본을 처음 앞서며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됐다. 중국이 미국과 대등한 세계적인 패권국이 될 것이라는 예측...
북한 인권 지표 및 지수 개발 연구
2011-09-05 조회수 : 10,947 강명세, (편)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 센이 북한에서 지속되고 있는 기아발생과 관련하여 날카롭게 지적한 것처럼 북한의 핵개발도 걱정이지만 민주주의가 없다...
새로 그리는 동아시아 안보지도: 중국 부상의 안보적 함의
2011-09-05 조회수 : 10,022 이상현, (편)
중국의 부상은 한국의 외교안보에 심오한 도전인 동시에 기회의 창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부상으로 초래된 동북아 안보질서의 전환기에 한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