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2/36
[세종정책연구 2023-04] 김정은 시대 지방발전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3-12-21 조회수 : 7,774 최은주
2021년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북한은 시・군강화노선을 발표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북한은 지방발전을 당의 중요 정책으로 그 위상을 강화하고 ...
[세종정책연구 2023-03] 가치 기반 연대와 위기관리: 한-유럽 간 협력의 함의와 발전 방향 모색
2023-12-15 조회수 : 2,486 이성원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과 재편되는 국제질서 속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공유되는 이익과 가치를 기반으로 연대하여 반대 연합과 경쟁하는 ...
[세종정책연구 2023-02] 일본경제의 저성장 추이와 지방창생정책: 성숙국가 지향의 관점에서
2023-11-29 조회수 : 2,512 이면우
90년대 이후의 일본경제는 버블경제의 붕괴로부터 시작해서 지속적인 저성장 또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난 30년간 보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본...
[세종정책연구 2023-01]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의 국가전략 환경 변화와 정책 제언
2023-11-10 조회수 : 3,602 홍현익
문재인 정부 시기 한 동안 북핵 문제 해결과 평화 정착을 기약하던 한반도 정세는 북・미 간 신뢰 부족과 국제질서 주도권을 둘러싼 미국의 중국 견...
새로운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대일본 공공외교
2023-01-19 조회수 : 11,631 진창수, 오승희, 석주희
이 책은 한국의 대일본 공공외교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진행한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저서 내용의 초안은 2021년 외교부의 정책 용역...
[세종정책연구 2022-04] 갈등적 한일관계의 해소방안 연구: 강제징용피해자문제를 중심으로
2022-12-23 조회수 : 4,187 이면우
한일관계가,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함께 윤대통령이 제시하는 개선의 의지에 따라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는 있으나, 2022년 11월의 시점에서도 ...
윤석열 정부 대외정책 과제
2022-12-23 조회수 : 6,990 이대우, 정성장, 우정엽, 정재흥, 진창수, 최윤정, 이신화
세종연구소는 5년마다 교체되는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차기 정부의 대외정책 과제라는 주제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해왔다....
[세종정책연구 2022-03] 중국의 기업 정책과 국진민퇴(國進民退): 민영기업 통제 강화와 중국경제의 효율성 저하
2022-11-03 조회수 : 3,567 김기수
중국은 경제적으로 팽창했고, 성장의 동인은 당연히 약진을 거듭했던 민영기업이었다. 민영기업의 중요성은 시간이 지나며 더욱 부각됐다. 여기서 ...
[세종정책연구 2022-0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정부 신뢰와 자긍심
2022-09-23 조회수 : 3,528 강명세
코로나-19가 발생한지 2년이 지났으나 세계는 아직도 고통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감염병은 공중보건의 위기에 그치지 않고 모든 분야에 영향을 ...
[세종정책연구 2022-01] 김정은 집권 시기 경제법제의 변화와 전망
2022-08-09 조회수 : 4,347 최은주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경제부문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진해 왔다. 특히 과거와 달리 변화된 현실을 수용하는 수준을 넘어 국가 주도로 개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