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22/36
세계 기축통화의 변화 가능성: 통화패권의 역사와 중국의 도전을 중심으로
2010-08-10 조회수 : 11,040 김기수
미국에 통화패권 의식이 싹트기 시작한 것은 브레튼우즈 체제가 붕괴된 다음이다. 이때부터 미국은 달러화의 발권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전시작통권 전환 이후 유엔군사령부의 위상과 역할
2010-08-10 조회수 : 9,167
전시 작전통제권이 연합사령부로부터 한국군에게 전환되고 연합사령부가 해체될 경우 유엔사의 역할과 존속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전작권 ...
21세기 한국 정치사회의 갈등 구조와 양상: 한국적 ‘이중 딜레마’와 정책노선 갈등의 양극화·치열화
2010-08-10 조회수 : 8,803
본 연구는 ‘이중 딜레마 이론’이라는 ‘한국적’ 정치사회 갈등이론을 새롭게 개발․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 개발은 작금의 화두로 부각된 한국 ...
북핵 국제공조의 한계와 정책 보완방안
2010-08-10 조회수 : 9,431
2차 북핵위기 이후 국제사회는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공조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핵 국제공조정책은 이론적․정책적 한계에 부딪치고 ...
공세적 현실주의와 동북아 안보: 미어샤이머의 설명력과 함의
2010-08-10 조회수 : 11,930
이 글의 목적은 ‘공세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라고 하는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동북아의 지역안보와 평화를 달성할 수 ...
중·소의 북한 내정간섭 사례연구: 8월 종파사건
2010-08-10 조회수 : 10,737 이종석
일반적으로 강대국과 약소국 사이에 맺어지는 동맹관계에서 약소국은 강대국에게 자신의 자율성 관여를 허용하는 대신에 안보를 제공받는다. 이렇...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 경제협력 평가
2010-08-10 조회수 : 9,681
이 글은 후진타오 정부시기의 중국과 북한 간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원인을 양국의 정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양국의 경제협력관계를 전망해 ...
탈냉전기 인도의 안보정책과 국제관계
2010-08-10 조회수 : 10,232 이대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지만 국제적 영향력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인도의 안보정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인도의 안보...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Achieving a Nuclear-Weapon-Free Korean Peninsula
2010-08-10 조회수 : 8,894
This paper deals with several important questions concerning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achieving a nuclear-weapon-free Ko...
한반도 평화와 한미중 협력
2010-01-25 조회수 : 10,911 이태환, (편)
이 책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에 있어 검토해야 할 주요 이슈들 중에서 한중만이 아니라 한국, 중국, 미국이 같이 협력할 필요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