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32/36
일본외교와 동북아
2007-04-10 조회수 : 11,089
일본외교는 탈냉전이후 국제화와 함께 국제공헌의 증대 및 국제적 역할의 확대를 중심으로 親美入亞와 한미일 공조의 정책을 중시해 왔다. 일본외...
한국의 국가전략 2020
2007-04-10 조회수 : 11,375
세종연구소는 기존의 단기적이고 단선적인 시각으로부터 나아가 과거와 현재의 추세, 그리고 이 것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변수를 바탕으로 2020...
중국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
2007-04-10 조회수 : 10,715 이태환, (지음)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에서 국내적 요인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한 나라의 대외정책은 본질 적으로 국내정치%uB7경제의 근본적인 필요에 따라 ...
일본형 복지사회 개혁
2007-04-10 조회수 : 10,572 이면우, (편)
근대국가를 성공리에 선행, 발전시킨 일본은 여전히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이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참고해야 할 견본국가라고 할 수 있다. 물...
Human Rights in North Korea(북한 인권문제의 종합적 이해)
2007-04-10 조회수 : 11,963
여러 북한 관련 문제들 중에서 인권문제도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보편적인 세계인권체제는 관계자들간의 허심탄회한 논의를 통해서 성립될 수 ...
한반도 평화안보론
2006-04-10 조회수 : 10,954
이 책에서는 냉전적 시각을 넘어서 ‘평화안보’ 개념을 중심으로 남북한 간 대결에서 협력으로, 체제안보에서 공동안보로, 민족과 외세의 이분법적 ...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2006-04-10 조회수 : 11,277
이 책은 한국 민주화 이후 18년이 경과한 현재 절차적 민주주의의 구조적 한계에 대한 불만이나 회의론이 제기되고, 또 이 문제의 해결방식으로 개...
세계화와 탈산업화시대의 노동과 복지의 정치
2006-04-10 조회수 : 10,915 강명세, (지음)
노동과 복지는 선진민주주의의 핵심적 내용으로 민주주의의 남매에 해당한다. 역사적으로 민주주의의 발전은 노동과 복지의 요구를 확대하고 심화...
동아시아 역학구도
2005-04-10 조회수 : 10,654 김기수, (지음)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우리가 속해 있는 동아시아는 어떠한 권력구조를 지니고 있을 까? 이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우선 한국이 속해 있는 동아시아...
러시아 국가와 사회
2005-04-10 조회수 : 7,827
이 책은 제목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시아의 체제 변화를 다루고 있다. 지난 스무 해에 걸쳐 러 시아는 사회주의 체제를 버리고 민주주의와 시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