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논문/단행본
TOTAL 359 Page 7/36
North Korea Conundrum
2019-03-04 조회수 : 8,512 양운철, 우정엽, 박종철, 이정민, 김진무, 장형수
역사적으로 북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은 주로 지도자 개인에 대한 숭배 또는 열악한 경제 현실과 같은 북한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어왔...
한반도 비핵․평화의 길: 북한의 협상 수용 배경과 한국의 전략
2018-12-17 조회수 : 9,501 정성장, 전봉근, 김열수
이 책은 2018년 북한의 비핵화 협상 수용 배경과 핵능력을 분석하고 한반도 비핵․평화체제 추진과 군비통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김정은 위...
중국경제의 추락: 경제·정치 모순의 분출
2018-12-03 조회수 : 7,584 김기수
중국경제가 추락하고 있다. 추락의 경제 요인은 이미 밝혀졌다. 산업, 금융, 부동산, 지방경제 등 경제 핵심 부문에 내재된 왜곡 현상이 추락의 ...
'스트롱맨'의 등장과 영향력: 미 · 중 · 일 · 러, 주변4국 2018
2018-10-24 조회수 : 8,661 이면우, 정재흥, 장덕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이 고도화됨에 따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가 복잡하고도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일수록 한국은 한...
일본 보수주의 분석: 아베 재등장의 배경과 일본 정치의 향방
2018-05-30 조회수 : 14,641 이면우
본 연구는 아베의 자민당 총재 재취임과 총선거에서의 승리에 의한 수상으로서의 재등장이 어떤 요인 및 경위를 통해서 이루어졌는지 하는 주제...
Whither North Korea?
2018-05-03 조회수 : 15,906 양운철, 정성장, 김석향,김수암,이정민,데이비드 스트라우브,이지용,윤석준
2017년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화성14형, 15형 발사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고조되었다. 동시에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와 압박도 강...
박근혜정부의 대북·통일정책: 역대 남한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비교
2018-04-06 조회수 : 17,666 백학순
박근혜 대통령은 2013년 2월 25일 대통령 취임부터 2016년 12월 9일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어 대통...
미일동맹의 정치경제
2018-04-06 조회수 : 16,184 김성철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미일동맹의 강화와 중국의 부상이 두드러지고 양 진영의 패권경쟁을 통한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동...
사드배치와 한중관계
2018-03-20 조회수 : 19,750 정재흥, 주재우, 이동민
지난 1년간 사드문제로 인해 한중관계는 최고 수준에서 최악의 수준으로 곤두박질치는 질곡을 겪었다. 2016년 7월 8일 박근혜 정부가 사드배...
북한의 핵 도발·협상 요인 연구: 사례분석의 함의와 향후 북핵정책 방향
2018-02-05 조회수 : 23,500 홍현익
2018년 초 현 상황에서는 북한의 핵 포기를 단숨에 얻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북한의 핵 고도화와 완성을 이제까지처럼 방관할 수도 없다.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