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전체
TOTAL 477 Page 40/48
유엔안보리의 개혁과 일본외교
2007-08-01 조회수 : 8,945
일본이 유엔(국제연합) 개혁의 시기에 맞춰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 되려고 다방면의 외교노력을 경주해 왔다. 안전보장이사회를 ...
동아시아 통화협력: 動因과 새로운 진전의 가능성
2007-08-01 조회수 : 8,281 김기수
AMF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통화협력이 가져다주는 경제적 혜택은 더 이상의 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동아시아 국가들 중 그 이득을 부인하는 국...
The US-Russia Relations: Russia's Military Presence in Moldova and Georgia
2007-08-01 조회수 : 5,516 정은숙
9.11이후 돈독해진 미러 전략관계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OSCE (유럽안보협력기구)안팎에서 부단히 CIS (독립국가연합)내 국가인 몰도바와 그루지아...
중국의 초강대국화와 러시아: 푸틴 대통령 집권 하 러시아의 중국정책
2007-08-01 조회수 : 6,405
러시아와 중국은 지금 어느 때보다도 긴밀할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서도 인접한 두 나라 관계의 장래를 우려하는 목소...
국제금융체제와 국제통화제도: 통화권력과 동아시아 금융협력
2007-08-01 조회수 : 6,004 김기수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금융체제하에서 국가 간 금융거래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의존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지폐시대의 도래 이후 국가...
북미관계 정상화 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문제 해결방
2007-08-01 조회수 : 10,459 홍현익
그간 북‧미 대립을 주축으로 한 한반도 냉전구조 때문에 한반도 평화 정착은 진전을 보지 못했고 남북간 협력과 관계 발전은 일정 한도 내에서 이...
2기 부시 행정부의 동북아 전략과 한미안보협력방안
2007-08-01 조회수 : 5,886 홍현익
북핵문제와 부시 행정부 2기의 세계 및 아시아 전략 변화, 초강대국의 미래를 내다보며 동북아에 영향력을 증대해가고 있는 중국의 변화, 미국의 ...
약소국의 생존정책: 오스트리아와 핀란드의 중립화 외교
2007-08-01 조회수 : 8,186 강명세
이 글의 목적은 오스트리아와 핀란드의 중립화 외교정책의 기원과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오스트리아와 핀란드는 제2차 대전 이후 중립화 정책을...
북한 핵실험 이후 북핵 문제의 관리 및 해결 방향
2007-08-01 조회수 : 7,826 정성장
북한의 핵개발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전까지는 소련에 의해 억제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해체 후 심각한 안보 위기의식을 느낀 북한이 1...
러시아 대외정책의 진로수정?: ‘대국주의 ’열망과 푸틴의 선택
2007-08-01 조회수 : 9,149
푸틴 대통령의 재선(2004) 이후 러시아는 대외관계에 있어서 보다 공세적인 독자노선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구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