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국가전략」온라인 투고
학술출간
전체
TOTAL 477 Page 41/48
Mulitiple Regional Security Frameworks for Central Asia
2007-08-01 조회수 : 11,196 정은숙
소련붕괴후 중앙아시아 5개국이 독립을 선언한 이래 현재까지 강대국이 주도하는 다수의 지역안보기제가 이 지역에 진출 혹은 창출되었다. 우선 미...
주일미군의 재편과 미일동맹의 심화
2007-08-01 조회수 : 5,869
2006년 5월 미국과 일본은 미국 워싱턴에서 미일안보협의위원회를 개최해 주일미군의 재편에 관한 최종보고서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주일미군의 ...
중국 군사력 증강의 분석과 전망: 후진타오 시기를 중심으로
2007-08-01 조회수 : 7,074 이태환
이 논문은 중국 부상의 군사적 차원으로 볼 수 있는 중국 군사력 증강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의 시각에서 중국의 군사력 증강 현황을 분석 ...
아일랜드와 네덜란드의 대외경제정책: 사회협약과 ‘경제기적’
2007-08-01 조회수 : 6,655 강명세
이 글의 목적은 지난 20년 동안 가장 성공적 경제성공의 사례로 손꼽히는 두 나라 즉 아일랜드와 네덜란드의 ‘기적’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적’은 ...
경제 다자주의의 효용과 한계: 국제무역체제를 중심으로
2007-08-01 조회수 : 7,636 김기수
다자기구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은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힘의 요소를 중시하는 현실적인 해석이나 힘의 요소를 완전히 배제한...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2007-08-01 조회수 : 7,328 진창수
현재 일본에는 미국의 협조를 포함한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주의, 「ASEAN+3」의 포괄적 아시아 지역주의, 이국간의 FTA를 통한 아시아 경제 연대 라...
국가전략 13권 2호 2007년 여름
2007-06-01 조회수 : 8,454 박휘락,박영준,이종화,엄관용,정진민,,
일본형 복지사회 개혁
2007-04-10 조회수 : 11,390 이면우 , (편)
근대국가를 성공리에 선행, 발전시킨 일본은 여전히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이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참고해야 할 견본국가라고 할 수 있다. 물...
한국의 국가전략 2020
2007-04-10 조회수 : 12,178
세종연구소는 기존의 단기적이고 단선적인 시각으로부터 나아가 과거와 현재의 추세, 그리고 이 것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변수를 바탕으로 2020...
중국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
2007-04-10 조회수 : 11,519 이태환 , (지음)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에서 국내적 요인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한 나라의 대외정책은 본질 적으로 국내정치%uB7경제의 근본적인 필요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