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정책브리프

[세종정책브리프 2023-11] 한국의 자체 핵 보유 추진을 위한 대내적 조건과 핵잠재력 확보 과제

등록일 2023-07-21 조회수 7,256 저자 정성장

[세종정책브리프 2023-11]

 

한국의 자체 핵 보유 추진을 위한

대내적 조건과 핵잠재력 확보 과제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softpower@sejong.org

 

핵심요약


 

​ 한국의 자체 핵 보유를 반대하는 일부 전문가들은 핵무장을 추진하면 국제사회의 제재로 한국경제가 파탄 나고 한국 국민들은 고난의 행군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이 같은 주장은 다음

    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음

 - 첫째, 독자적 핵무장에도 여러 단계와 형태, 경로,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그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음

 - 둘째, 향후 국제안보환경의 악화와 2024년 미국 대선 후 미 행정부의 대외정책 변화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음

 - 셋째로, 이 같은 핵무장 불가론은 미국이 용인한 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의 핵무장 사례는 무시하고 미국이 용인하지 않은 북한의 핵무장 사례만을 참고하고 있음

​ 북한이 올해 안에 전술핵탄두를 가지고 제7차 핵실험을 감행하면 독자적 핵무장에 대한 관심이 한국사회에서 더욱 커질 것

 - 그동안 자체 핵보유의 필요성에 대한 찬반 논쟁은 많았지만, 자체 핵보유를 추진하려면 국내적으로 어떠한 조건이 갖추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음

​ 본 브리프의 목적은 한국정부가 유사시 독자적 핵 보유를 추진할 경우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미리 검토함으로써 한국 정부의 정책적 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있음

 - 그리고 한국정부가 단기간 내에 자체 핵 보유로 나아가기 어려운 상황에서 핵 잠재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과제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고자 함

​ 만약 북한이 미국 및 한국과의 비핵화 협상 테이블에 나와 북한의 핵포기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완화, 북미관계 정상화, 평화협정 등을 교환하는 방안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할 의사가 있다면

    한국이 굳이 자체 핵보유를 추진할 필요가 없을 것

 - 그러나 국가핵무력 완성이 북한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최대업적으로 선전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그의 핵 포기 결단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만약 한국이 비핵무기로 북한의 핵무기에 대응하려면 엄청난 국방비가 들어갈 수밖에 없으며, 그렇게 하더라도 북한의 핵무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

 - 만약 재래식 무기로도 핵무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동북아에서 맹위를 떨쳤던 일본이 1945년에 원자탄 두 발을 맞고 곧바로 항복하지는 않았을 것

​ 한국이 핵을 보유하지 못한 상태에서 한미의 확장억제를 더욱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

 - 그러나 대북 억제가 실패해 북한이 한국을 핵무기로 공격할 경우에도 미국이 본토가 핵공격당하는 것을 감수하면서까지 한국을 지켜줄 것이라고 믿고만 있는 것은 매우 위험

 - 따라서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독자적 핵보유를 추진하면서 정상외교를 통해 주변국, 특히 미국을 꾸준하게 설득할 수 있는 결단성 있는 정치지도자가 필요

한국이 유사시 신속하게 핵자강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치밀한 사전 준비를 수행할 컨트롤 타워가 반드시 필요.

 - 만약 국가안보실과 국가정보원에서 유사시 신속한 핵무장을 위한 치밀한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면, 국가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거나 일본이 갑자기 핵무장을 전격적으로 추진할 때 우리 정부가

   우왕좌왕하거나 당황해하지 않고 단기간 내에 신속하게 핵무장을 완료할 수 있을 것

핵무장에 대한 반대 의견이 지배적인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최고지도자가 핵무장을 결정하면 국민 과반수가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할 것

 - 국민들의 높은 지지도는 한국 정부가 독자적 핵무장을 추진하면서 일시적으로 제재와 난관에 직면하더라도 그것을 헤쳐나가는 데 큰 힘이 될 것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의 상당수도 한국이 일본과 같은 수준의 핵잠재력를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음

 - 다시 말해, 핵잠재력 확보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 내부에서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NPT 탈퇴 없이도 추진 가능

현재의 북핵 위협은 2010년대 상반기에 한미가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을 진행할 때와 비교해 상당한 차이가 있고, 북한이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ICBM 능력을 거의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확장

   억제의 신뢰도는 갈수록 약화되고 있음

 - 그러므로 한국 정부가 핵 비보유를 전제로 미국과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을 신속하게 재개해 가까운 미래에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분야에서 미일원자력협정 수준으로의 한미원

   자력협정 개정을 끌어낼 필요가 있음

 - 핵잠재력 확보 추진 공론화가 오히려 핵잠재력 확보를 어렵게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여야와 국민 사이에 이 같은 목표에 대해 폭넒은 공감대가 형성되면 미국도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계속

   거부할 수만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