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은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전후(前後)부터 현재까지의 북일관계 발전을 분석하며, 국제정세 변화와 한국정부의 역할이 북일관계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한미일 협력체제가 강화될 때 북일 간 대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북한이 외교적 고립을 피하기 위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한 결과로 해석된다. 일본의 대북 접근은 주로 한국의 중재자 역할에 의해 가능해졌으며, 한국이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때 일본의 대북 외교 공간이 확장되었다. 또한 남북관계 개선이 이루어질 때 일본이 반응형(reactive) 외교를 통해 북한과 접촉을 모색한 사례도 관찰된다. 향후 한국은 북일 국교정상화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을 강화하고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인권 문제와 대북 경제지원 논의에 적극 관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Japan relations since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1965, examining how bo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changed and the rol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influenced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A stronger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tended to ensure active dialogue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reflecting North Korea’s efforts to escape diplomatic isolation through improved relations with Japan. Japan’s engagement with North Korea has largely been facilitated by South Korea’s intermediary role, and Japan’s diplomatic leverage over North Korea increased when South Korea took an active role on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with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d, it’s observed that Japan tried to seek to engage with North Korea through the reactive diplomacy. Going forward, South Korea should strengthen its role as an intermediary to help the normaliz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contribute to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actively engaging with Japan in discussions on human rights and economic aid to North Korea.
이기태 ,"북일관계 60년과 한국," 『일본연구논총』제60호(2024), pp.137~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