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 제19차 정세토론회 개최  ○일시: 2020년 11월 17일(화)○주제: “미국과 중국의 신냉전(New Cold War)은 시
 작됐나: 신냉전의 실체”
 ○발제: 김기수 수석연구위원
  |  | 2020 제10차 세종정책포럼 개최 ○일시: 2020년 11월 18일(수)○주제: “미국 차기 정부의 외교·안보정책과 동아시아”
 ○장소: 서머셋 팰리스
  |  
 
| 2020 제20차 정세토론회 개최 ○일시: 2020년 11월 23일(월)○주제: “중국의 디지털 화폐 전략과 미중 경쟁”
 ○발제: 이성현 연구위원
  |  | 2020 제21차 정세토론회 개최 ○일시: 2020년 11월 30일(월)○주제: “바이든 행정부와의 대북전략 협력 방안”
 ○발제: 홍현익 수석연구위원
  |  
 
| 2020 제22차 정세토론회 개최 ○일시: 2020년 11월 30일(월)○주제: “트럼프 정부 미국 엘리트층의 대외인식”
 ○발제: 강명세 수석연구위원
  |  | 초청 간담회 개최  ○일시: 2020년 11월 2일(월)○주제: “4차산업혁명과 Old Think Tank의 종말: 왜
 선제적 리모델링이 필요한가”
 ○발제: 이정민 선임연구위원(카네기국제평화연구소)
 ○장소: 세종연구소 1층 대회의실
  |  
 
| 2020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 국제 화상회의  ○일시: 2020년 11월 5일(목) ○주제: “한·중·일 방역·보건 협력체 구축을 위한 협력
 과제”
  |  | 세종-국방대 공동 국제학술회의  ○일시: 2020년 11월 10일(화) ○주제: “글로벌 전략경쟁의 심화와 비전통 안보의 부
 상”
 ○장소: 조선호텔
  |  
 
| 한중 고위급싱크탱크 전략대화 화상회의 ○일시: 2020년 11월 12일(목) ○주제:“한미중 관계”/ “한반도정세·북핵”
 ○장소: 조선호텔(한국측)
  |  | 세종-매일경제신문 특집 웨비나  ○일시: 2020년 11월 12일(목) ○주제:“바이든 시대의 한미동맹”
  |  
 
| 제26차 세종-CICIR 공동 국제 화상회의 ○일시: 2020년 11월 20일(금) ○주제:“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한반도 정세 변화
 가능성”
 ○장소: 세종연구소 1층 대회의실(한국측)
  |  | 세종-차이나 안보포럼 ○일시: 2020년 11월 23일(월) ○주제:“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인도-태평양전략
 과 한·중 관계”
 ○장소: 서머셋 팰리스
  |  
 
| 2020 제5차 서울-워싱턴포럼 화상회의 ○일시: 2020년 11월 26일(목) ○주제:“바이든의 외교 정책과 한국”
 ○장소: 화상회의
  |  | 2020 한-아세안 파트너십 세미나 ○일시: 2020년 11월 26일(목) ○주제:“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인도-태평양전략
 과 한·중 관계”
 ○장소: 롯데호텔(화상회의 병행)
  |  
 
| 제37차 세종국가전략포럼 ○일시: 2020년 11월 25일(수) ○주제:“2021 남북관계 및 동아시아 정세 전망”
 ○장소: 세종연구소 1층 대회의실
  |  |  |  | 
| 
 
| 
|   | 2020년 11월 05일(목) 세종국가전략연수과정에서는 제26기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태양광랜턴 조립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  |
 |  
| 
|   | 2020년 11월 16일(월) 세종국가전략연수과정에서는 제26기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은수미 성남시장의 "연대와 공감으로 아시아실리콘밸리 성남" 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였다  |  |
 |  
| 
|   | 2020년 11월 20일(금) 세종국가전략연수과정에서는 제26기 연수생이 특강을 진행하였다. 첫번째로 이성도 국장의 "먹거리에 대한 생각나눔: 음식 잡학과 연수생활 소회" 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였고, 두번째로는 김명진 국장의 "슬기로운 금융생활" 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였다. |  |
 |  | 
| 
 
| 
 
|  |  | 『국가전략』 제26권 4호(겨울호) 2020년 
 · 군사적 비관주의와 과잉억제의 극복: 북한 SLBM 위협 대응전략에 대한 재조명 | 김정섭
 · 시진핑 시기 중국과 러시아의 의회 교류 분석 및 외교‧안보적 함의 | 김태호·김선재
 · 총괄평가의 개념과 방법, 그리고 가상 사례 적용 | 박창희
 · 빅데이터를 활용한 박근혜·문재인 정부 간 대외정책 토픽 비교 분석: 외교부 장관 연설문
 을 중심으로 | 이시온
 · 중국의 해양팽창정책에 따른 인·태지역 해양안보동학 특징 분석 | 이지용
 · 한반도 전략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전쟁전략: 전략적 화력마비를 통한 “초전격전
 (Hyper-Blitzkrieg)” | 한윤기 · 손한별
 · 지전략으로서 일본의 지역구상: 인도-태평양 구상을 중심으로 | 황보가람 · 박창건
 · [서평] 정체성의 위기 | 강명세
 
 |  |  | 
| 
 | 
|  | 
| 
|  |  
|  『국가전략』 원고 공모 |  
|  |  
| 
|  |  
| - 세종연구소의 계간지 『국가전략』은 시사성과 학술성을 갖춘 논문을 수시로 모집합니다. |  
| - 자세한 내용은 세종연구소 홈페이지(www.sejong.org)참조 - 유선문의 : 031-750-7615, E-mail : nationalstrategy@sejong.org (『국가전략』편집위원회 간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