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인원

정은숙

부서명

외교전략센터

연락처

070-4150-9981

직책

명예연구위원

E-MAIL

chunges@sejong.org

목록으로 가기 조직도로 가기

학력 및 경력

<학력>

고려대학교, 정치학 학사·석사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Graduate Student Alumni Research Award, The Ohio State University)

(Graduate Teaching Associate, The Ohio State University)

<경력>

유엔체계학회(ACUNS: The Academic Council on the UN System) 이사, 2015-2018 (Chair, Sub-Committee, 2017-2018); 해군발전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세종연구소 지역연구실장, 연구지원실장, 부소장 역임; 정세와 정책편집위원장 역임

고려대학교 강사, 한국정치학회 대외협력이사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슬라브학회 이사 역임;

한국국제정치학회 감사; -러 정치학회 학술교류위원장 역임

스탠포드대학교 Hoover Institution 방문학자; 핀란드국제문제연구소(FIIA), 오스트리아국제문제연구소(OIIP) 객원연구원; 독일프랑크푸르트 평화분쟁연구소(PRIEF) 초빙연구원(2012) 역임

동아시아안보 심포지움(SEAS) 펠로우; 잘쯔부르그 세미나 펠로우 역임

국가안전보장회의,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정책자문위원 역임


<주요 활동/회의>

ACUNS 이사회 (2017)

-NATO, ‘WMD 확산’ (2016)

영국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일본국제문제연구소(JIIA) 군축비확산센터 (2016)

러시아국제문제위원회 (RIAC) ‘중러: 양자관계의 질적도약’ (2016)

한러포럼 (2016)

동아시아 유엔체계세미나 (2016)

동북아 유엔PKO세미나 (2016)

-싱가포르 포럼 (2015)

IISS, ‘샹그릴라대화 (2015)

-태국 안보국제문제연구소 (ISIS), ‘아세안과 한반도’ (2015)

국방대학교-독일 아데나워재단, ‘-유럽 군사협력’ (2014)

러시아 동방학연구소-한양대 아태지역연구 센터, ‘한러관계’ (2013)

NATO, Think Tank Representatives 브리핑 (2011)
세종 국가전략연수과정 중남미 연수 모더레이터 (2011)

워싱턴 씽크탱크 현지조사 (2011)

중동부유럽 국제학회(ICCEES), ‘협력범주 확장 전망’ (2010)

일본 방위연구소, '국제사회의 평화활동' (2009)
5러시아정치학대회, 한국정치학회측 축사 (2009)

말레시아 대학교, ‘한국의 대외관계: 도전적 세계’ (2009)

카네기국제평화연구소, 국제비확산회의 (2007)
폴란드 대외정책 방문단 (2007)

인도 국방연구소 (IDSA), 아시아안보회의 (2007)  

유럽국제관계학회(PECIR), ‘세계질서 구축’(2004)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브리핑 (2004)

미국 국제정치학회(ISA) Travel Grant 수여 (2003)  

유엔 코보소미션 (UNMIK) 브리핑 (2002)

 

연구실적

 

저서
-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안보: 이슈와 행위자(한울아카데미, 2012)

- 러시아 외교안보정책의 이해: 고르바초프에서 푸틴까지(세종연구소, 2004)

 

편저

- 미중일러의 대한반도 정책결정과정(세종연구소, 2010)
- 한국의 대개도국 외교: 과거, 현재, 미래(세종연구소, 2009)
   (2010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미중일러의 대북정책(세종연구소, 2001)
Foreign Policy Making in Russia: An Analysis of Domestic Entanglements
   (The Sejong Institute, 1998).

(연구자: Hannes J. Adomeit, Andrei V. Kortunov, Eunsook Chung)

 

최근 연구논문/보고서/book chapters/서평

- NATO의 핵공유협정과 전술핵무기: 배경, 전망, 시사점(2016)

[세종정책연구 2016-1]

- 트럼프 당선과 미러관계 변화전망(세종연구소 정책브리핑, 2016.12)

- “비대칭 안보위협: 국제테러리즘을 중심으로세종연구소 편 2017 정세전망(2016)

-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3: 구상과 현실사이”(연구종료일: 2016.4).

홍현익 편, 박근혜정부의 대외정책: 평가와 과제(세종연구소 2017).

- [서평] Thomas J. Biersteker, Sue E. Eckert & Marcos Tourinho

(2016), Targeted Sanctions: The Impacts and Effectiveness of United Nations

Action (ACUNS Web Book Review, 2016.12)

- [서평] Joseph S. Nye, Jr. (2015), Is the American Century Over?

“21세기 글로벌 세력균형과 미국의 역할: 미국의 세기는 끝났는가

(국가전략221, 2016)

- “유럽, 이스라엘의 탄도미사일 방어개념 및 구축사례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연구소 편, 미사일 방어전략(2015)

- 동북아평화협력구상 내실화 및 실천을 위한 제언: 헬싱키 프로세스 재조명을

중심으로(세종연구소 정책보고서 통권 76, 20147)

- 동아시아 네트워크 지역주의와 러시아: 동인, , 전망(세종연구소, 2014)

- The UN Non-Proliferation Sanctions on North Korea: Assessment

and Suggestions (The Sejong Institute, 2013)
- “Long-Stalled Six-Party Talks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Positions of Countries Involved,"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3-1 (March 2013)

- “한국군 평화유지활동,”글로벌 리더쉽 편찬위원회,대한민국 글로벌 리더쉽

(교보문고, 2012)

- '핵안보 정상회의(NSS) 프로세스와 한국(세종연구소 정책보고서, 2012)

- 서울 G20국회의장회의: 의제 심층분석과 제도화방안(국회용역 책임연구, 2011)

- “Russia's View of Korean Unification: Its Assessment of the Prospects,"

    Korea Review, 1-1 (2011)

Foreign Policy Orientations of Russia's Major Political Parties:

Toward the West, CIS,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Sejong Institute, 2011)

- “벨로루시,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비핵화 사례,”

박기덕, 이상현 공편,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세종연구소, 2008)

-  "헬싱키 프로세스와 남북관계,"KDI 북한경제리뷰10-2 (2008)

- “2세대 유엔PKO: 특징, 현황, 정치,”세종정책연구4-1 (2008)
- “중러 군사협력: 현황, 동인, 한계,”세종정책연구3-2 (2007)
- “Humanitarian Intervention: Can it be Perfect?"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8-2 (2007)
- “Mulitple Regional Security Frameworks for Central Asia:
      NATO, CSTO, OSCE, SCO,"세종정책연구3-1 (2007)
- “The US-Russia Relations: Russia's Military Presence in Moldova and

Georgia," 세종정책연구2-1 (2006)
- “Cooperative Security Regimes: A Comparison of OSCE and ARF,"
    세종정책연구1-1(2005)

최근 정세분석/논평/칼럼

-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경제제재: 중국, 러시아의 기업, 기업인 (세종논평, 2017.8.28.)

- 유엔안보리 결의문 2371: 이행의 과제 (2017.8.11.)

- 9대 유엔사무총장 선출과정 조망: 글로벌 리더쉽 발굴 노력 (세종논평, 2016.8.31.)

- ‘브렉시트’: 유럽과 국제안보에의 함의 (정세와 정책2016-8)

- 중러정상의 타쉬켄트, 북경회동: 신실크로드, 남중국해, 그리고 사드

(세종논평, 2016.7.11.)

- 유엔안보리 결의 2270호와 대북제재레짐의 미래 (정세와 정책2016-4)

- 히로시마 G7외무장관회의 내용과 시사점 (세종논평, 2016.4.18.)

- 유엔안보리의 대북 비확산제재레짐 10: ‘중국요인의 중요성 (세종논평, 2016.1.13.)

- 이란과 P5+1의 핵협상 타결: 배경, 전망, 시사점 (정세와 정책2015-8)

- 두차례에 걸친 중러 해상연합-2015: 배경과 의미 (정세와 정책2015-11)

- 샹그릴-라 대화 2015: 아시아안보의 현주소 (2015.7.2.)

-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헬싱키 프로세스 (정세와 정책2014-11)

- 푸틴-김정은기 북러관계 (북한2014-10)
- 2014 NATO 웨일즈 정상회의 함의 (세종논평, 2014.9.12)
- 우크라이나의 미래와 대선결과 (정세와 정책2014-6)

- 남북러 3각 경협과 신동방정책 북한2014-6)

- 크림반도위기와 국제질서의 향방 (세종논평, 2014.3.10)
- 50차 뮌헨안보회의 의제와 시사점 (세종논평, 2014.2.1)
푸틴대통령의 신동방정책과 한러 정상회담 (세종논평, 2013.11.18)
- 메르켈 총리의 총선승리 의의와 정책전망 (세종논평, 2013.9.26.)

-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 이행경과 및 전망 (정세와 정책2013-4)
- 유엔안보리 결의문 제2094호 의미와 기대 (세종논평, 2013.3.11.)

- 전후 독일의 역사반성과 유럽평화에의 기여: 일본과의 비교 (정세와 정책2013-3)
- 제주 민군복합관광미항 안정성 최종확인 (국방일보2013.2.4.)

- 김정일 사후 북한: 러시아의 시각 (정세와 정책2012-6)
- 시리아 유혈사태와 러시아, 그리고 현실주의 국제정치 (세종논평, 2012.6.18.)
-  2012 북경 SCO정상회의의 의미와 시사점 (안보현안분석72, 2012)
- 세계와 함께하는 우리 해군 (해군419, 2012)
- 글로벌 핵안보 거버넌스: 2차 핵안보정상회의에 거는 기대 (자유마당489, 2012)
- 푸틴3기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한러관계 (정세와 정책2012-6)
- 시카고 NATO 정상회의와 국제안보환경 (세종논평2012.6.1)
- 2012 서울핵안보 정상회의의 의미와 성과 (세종논평2012.3.30)
- 시론: 북한의 안정적 권력승계 (국방일보2011.12.30.)

- 시론: -러 상트 페테르부르그 정상회교 성과 (국방일보2011.11.4.)

- 반기문 사무총장의 재선 (세종논평, 2011.6.20)
- 소말리아 해적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세종논평, 2011.1.30)
-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방미: 실리콘벨리, 햄버거, 천안함 (세종논평, 2010.6.30)
-  NATO와 러시아: 공동의 안보위협과 대응 가능성RUSSIA-CIS Focus175 (2010)
- 8NPT 평가회의와 비확산레짐의 미래 (정세와 정책2010-6)
- 1차 핵안보 정상회의: 배경, 성과, 시사점 (정세와 정책2010-5)
- 한국의 유엔PKO첨여법과 평화유지활동 (정세와 정책2010-2)
- 미국의 동유럽 미사일방어계획 수정: 배경과 시사점 (세종논평, 2009.9.22)
- 새해 한국의 안보를 생각하며 (해군1-2, 2009)
미러 핵군축합의: 의미와 전망 (정세와 정책2009-8)
- 북한 핵실험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정세와 정책2009-7)
- NATO창설 60주년: 평가와 시사점 (정세와 정책2009-5)

- Challenges in Lee Myung-bak’s Russia Visit (The Korea Herald, 2008.9.30.)

- 헬싱키 데칼로그는 꿈인가 (조선일보2006.6.2.)

- 하와이에서 본 미일동맹 (조선일보2006.5.5.)

 

연구 및 관심분야

 

다자안보협력, 국제평화안보거버넌스, UN평화유지활동, NPT레짐, 지역다자안보 (NATO, OSCE, ARF, SCO, 북핵6자회의), 러시아 외교안보정책, 주변4강의 대한반도 외교안보정책, 한국외교안보정책

관련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