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구소 연구/발간물
"트럼프 2.0시대 유럽 자강론 재부상과 한계: 유럽 자율성 논쟁과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전략』(2025년 8월)
"한미동맹의 '동맹 현대화': 주요 의미와 쟁점," 『세종포커스』, 세종연구소 (2025년 8월 14일)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한미동맹의 미래," 『세종정책브리프』, 세종연구소 (2025년 7월 22일)
(공저) "이란 공습을 바라보는 북한," 『세종포커스』, 세종연구소 (2025년 7월 17일)
"동맹우선주의(Alliance-first)를 통한 실용과 자강," 『세종포커스』, 세종연구소 (2025년 6월 26일)
“미국의 전술핵 유연 재배치(Flexible Redeployment) 비용 및 편익 평가,” 『세종정책브리프』, 세종연구소 (2025년 4월 17일)
“우크라이나 전쟁 2주년과 나토 핵공유체제의
동향: 재래식핵통합(CNI) 개념을 중심으로,” 『정세와정책』, 371호(2024년 2월), 세종연구소
“동아시아 비핵국가들의 Plan B: 핵잠재력 확보를 통한 잠재적 보험적 억제력 구축,”『국가전략』, 제27권 4호(2021), pp. 35-64.
최신 연구실적 목록 (2025년)
"Seoul and Washington’s Diverging ‘Images’ of Alliance Modernization," Korea on Point, (2025년 10월 4일).
(공저) "Further Enhancing US Extended Deterrence for South Korea," The Washington Quarterly 48 (3) (2025), pp. 89-107.
"Deterrence Without Borders: The Taiwan Question in ROK-US Extended Deterrence,"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Visiting Research Scholar Program 2025 (11553O).
"Suspending ROK-U.S. Joint Exercises: The Need for Careful Deliberation," Sand Institute (2025년 9월 5일).
"Navigating the new normal: Strategic simultaneity, US Forces Korea flexibility, and alliance imperatives," Atlantic Council Issue Brief, (2025년 8월 27일).
"Envisioning Flexible Nuclear Re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Cheaper, Lighter, and Affordable,"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15 (2) (2025), pp. 33-58.
"트럼프 2기와 한미동맹: 불확실성과 도전의 시기," IIUS 전문가 논단 2025 (6), (2025년 5월 28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전략과 한국에의 함의," 안보리뷰 (RINSA Review) 226, (2025년 4월 30일).
"Conventional-Nuclear Coordination as a Way Forward for U.S.-ROK-Japan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sia Policy, 20 (1) (2025), pp. 71-76.
(공저) 기로에 선 북핵위기: 환상과 현실의 이중주 (North Korea's Nuclear Crisis at Crossroads)』, (박영사, 2025)
전체 연구실적 목록: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RYLRDrkAAAAJ&hl=en
학위논문
Arming South Korea: Restrained Arms Acquisition in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 Capabilities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20) *원문: 영어, 국문제목: 한국의 동맹안주적 무기획득패턴 연구: 제한적 미사일방어망과 정보감시정찰체계 획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