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구소의 김정섭 부소장의 사회로 시작하여 이상현 소장과 신소현 박사가 김병기 의원과 조태용 의원의 법안간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고려대학교의 박노형 교수와 성균관대학교의 김민호 교수의 발표에 이어
경향신문, 문화일보, 중앙일보 논설위원들의 날카로운 질문들에 개인정보보호법학회 김도승 교수,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김소정 실장, 국가정보학회 김유은 교수, 국립외교원 유준구 교수, 정보세계정치학회 윤민우 교수,
한국데이터법정책학회 이성엽 교수,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김재광 교수,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우한곤 부회장,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장항배 교수, 한국정보보호학회 이옥연 교수, 세종연구소 문정인 이사장이 토론 시간을 가졌다.
성황리에 마친 포럼에 대한 언론 보도 기사가 하기와 같이 줄지었다.
- "민간분야 사이버안보 취약…사이버안보법 제정해 피해 막아야" (매일경제)
- 사이버안보법 마련에 여·야 한목소리...권한 오남용 방지도 필요 (아주경제)
- 여야, 국정원에 광범위 사이버정보 수집권 부여 입법 (뉴시스)
- 사이버안보법 통과 시급 한목소리…"국정원, 컨트롤타워로 올라서야” (이데일리)
- '사이버 안보' 법안 봇물, 정보 수집 오남용 방지가 관건 (프레시안)
- 여·야 모두 발의…"15년 미룬 '사이버안보법' 마련돼야" (ZD Net Korea)
- 학·연 "국정원 주도 사이버안보법안 긍정적" (정보통신신문)
- 사이버안보법 마련에 여·야 한목소리...권한 오남용 방지도 필요 (아주경제)
- 여야, 국정원에 광범위 사이버정보 수집권 부여 입법 (뉴시스)
- 사이버안보법 통과 시급 한목소리…"국정원, 컨트롤타워로 올라서야” (이데일리)
- '사이버 안보' 법안 봇물, 정보 수집 오남용 방지가 관건 (프레시안)
- 여·야 모두 발의…"15년 미룬 '사이버안보법' 마련돼야" (ZD Net Korea)
- 학·연 "국정원 주도 사이버안보법안 긍정적" (정보통신신문)